LG 김치냉장고 [LG 김치냉장고 온도] 냉기가 전혀 없어요
이렇게 해보세요.
김치냉장고의 일부 칸이 [전원 꺼짐]으로 되어 있나요?
➔ [전원 꺼짐]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기능을 켜주세요.
김치냉장고의 일부 모델은 고객이 원하는 칸의 전원을 끌 수 있습니다.
[잠금/풀림]을 2초간 눌러 [잠금/풀림]을 풀어주세요.
칸 선택을 해서 좌칸이나 우칸이 전원꺼짐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해 주세요.
만약 꺼져있다면 좌칸이나 우칸을 선택한 후 전원 버튼을 2초간 누르면 전원이 켜집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전원이 정상적으로 들어온다면 냉장고 벽면에 손을 대었을 때 냉기가 느껴집니다.
도어를 열었을 때 냉장고 안의 램프가 들어오지 않나요?
➔ 전원코드를 뺐다가 다시 꽂아주세요.
램프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다른 전기제품을 콘센트에 꽂아 정상 작동되는지 확인해 주세요.
다른 전기제품도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면 콘센트 문제로 전기업체를 통한 점검이 필요해요.
그러나 다른 전기제품이 정상 작동한다면 냉장고 점검을 위해 출장 서비스를 신청해 주세요.
잠깐! 더 알아보세요.
일부 제품은 냉장고 램프가 적용되지 않아 도어를 열어도 램프가 들어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램프 적용 여부는 제품 사용설명서를 확인해 주세요.
냉장고가 온도 변화가 심한 곳이나 베란다 같은 바깥에 있나요?
→ 냉장고는 온도가 5~43℃인 장소에서 가장 잘 작동합니다.
실내로 옮겨 설치해주세요.
냉장고를 설치한 곳의 온도가 5℃보다 낮거나 43℃보다 높으면 냉장고가 온도 변화를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에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냉장고의 센서는 온도가 차갑다고 감지해 냉장실의 냉기 순환이 느려집니다.
베란다 같은 외부에 냉장고를 설치했다면 주위 온도에 영향을 덜 받는 실내로 옮겨주세요.
냉장고를 방금 설치했나요?
➔ 식품을 보관하기 알맞은 냉장 온도가 되려면 냉기를 만드는 데 시간이 필요해요.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 식품을 넣어주세요.
전원 플러그를 꽂고 1~2시간 정도 지나면 냉장고에서 냉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처음 설치하고 나서는 냉기가 약하다고 느껴지니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 식품을 넣어주세요.
여름에는 냉장고 속을 모두 차가운 공기로 채우려면 2~3일 정도 걸릴 수도 있답니다.
LG 김치냉장고 [LG 김치냉장고 보관] 김치가 쓴맛이 나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김치가 쓴맛이 나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김치의 맛은 사용하시는 고객님의 입맛이나 담근 김치의 상태(염도, 양념 종류, 김치의 품종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김치냉장고는 김치의 맛을 변화시키는 제품이 아닙니다.
일반 냉장고 보다 김치를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제품입니다.
배추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쓴맛 성분이 김치 국물이나 배추 조직 속에 남아있는 경우, 풋냄새를 발산하여 쓴맛을 느끼게 합니다.
이 경우는 김치가 익으면 쓴맛이 없어집니다.
주의해주세요!
인삼 등 숙성을 억제 시키는 양념 재료를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쓴맛이 강해집니다.
김치 익는 과정
1. 배추 절이는 과정에서 남은 나머지 수분이 탈수되면서 김치 국물이 됩니다.
2. 수분이 빠져 가벼워진 김치는 김치 국물 위에 뜹니다.
3. 식염 효과를 가속시키기 위해 지혜로운 조상들은 누름돌로 눌러줍니다.
4. 김치가 김치 국물 속에서 숙성됩니다.
5. 숙성되는 과정에서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이 만들어집니다. (이때 발생하는 탄산가스가 김치의 청량감을 높여줍니다.)
김치가 익는 과정에서 나오는 탄산가스로 인해 부글부글 끓는 것 같이 보이는 현상은 정상적으로 익어가는 현상입니다.
김치 국물 속 숙성 저장
식염의 방부작용 효과(흰 곰팡이 발생 차단)가 있습니다.
공기 접촉 차단으로 김치 변색 억제효과가 있습니다.
내염성 유산균 증가로 상큼하고 감칠맛 나는 김치로 보관됩니다.
출처: LG전자 문제 해결 Q&A: https://www.lge.co.kr/support/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