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도시가스 -자주하는 질문] 도시가스 배관을 땅에 묻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경동도시가스 -자주하는 질문] 도시가스 배관을 땅에 묻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도시가스 배관을 땅에 묻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도시가스 배관이 지상에 있으면 차량이나 사람들의 통행에 상당한 불편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외부자극에 의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땅에 매설하여 가스를 공급하는 것입니다.



시설분담금을 납부하지 않았는데, 공급진행상황에 대해서 확인하고 싶습니다.
고객님께서 시설분담금을 납부하시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시설분담금 납부 후에, 저희와 공급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간주되어 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계약 성립 후, 공급까지의 시일이 45일~60일 정도 소요됨으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층 아파트들이 많이 생겨나는데, 올라갈수록 배관 내 압력이 상승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도시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올라 가려고 하기 때문에 고층으로 갈수록 약간의 압력상승 현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도시가스 배관 설계 시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적용하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도시가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가스보험이 무엇인가요?
가스사고배상책임보험이란, 가스관계법에 의하여 가스 사업자, 가스용기 등 제조업자 및 가스 사용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배상책임보험의 일종입니다.

 가입 의무자가 보험기간 중에 가스 취급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가스사고로 인하여 피보험자가 제3자에게 입힌 신체 또는 재물에 대한 법률상의 손해 배상 책임(민법 제750~752조)을 부담함으로써 입은 손해를 보상하는 보험으로, 가스사고배상책임보험은 월 사용예정량이 3,000세제곱 미터 이상인 특정가스시설이 의무적으로 가입 되어야 합니다.

보험가입 기간은 1년이며 만기 전까지 매년 재 갱신되어야 합니다. 화재보험은 가스사고배상책임보험과 동일한 배상책임이 없으며 특약 사항에 가스사고배상책임보험을 추가적으로 가입하면 동일한 효력이 발생됩니다.

가스로 인한 폭발, 파열, 화재 등 가스사고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손해 피해자의 구제를 목적으로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가스 관련법에 근거하여 가입하여야 하는 의무보험입니다.

의무보험인 가스사고 배상책임보험의 가입대상은 각 가스 관련법(시행규칙,시행령)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도시가스 압력이 낮아 보일러점화가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조치해야 하나요?
도시가스는 정압장치(정압기)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도시가스를 연속공급하고 있으나, 사용량이 많은 동절기나 사용자설비 또는 주변에서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압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가스레인지를 켜서 불꽃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 가스레인지 불꽃 정상(파란) 확인 시.
가스레인지가 정상이라면 보일러의 이상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일러 제조업체 A/S센터로 전화하여 점검을 받아보셔야 합니다.

- 가스레인지 이상불꽃(파란색이 아닐 경우) 확인 시.
고객만족센터(1577-8181)를 통하여 현상을 신고하시면, 현장점검을 통하여 입상관 퍼지공에서 압력을 측정하여 공급압력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이상이 없을 시 보일러 전단에서 압력을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공급압력에 문제가 있으면 가까운 정압기의 승압을 당사의 관련 팀에 요청하여 확인하고, 압력에 문제가 없으면 보일러 A/S 기사와 협의하여 보일러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여 조치하겠습니다.



가스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가스는 일반적으로 상태, 연소성, 용도에 따라 분류됩니다. 상태에 따라 압축가스(H2, N2등), 액화가스(C3H8, C4H10등), 용해가스(C2H2)로 나뉘고 연소성에 따라 가연성(도시가스), 불연성(질소가스), 조연성(산소가스등)으로 나뉩니다. 마지막으로 용도에 따라 연료용(도시가스, 프로판, 부탄), 공업용(아세틸렌, 산소, 액화염소, 수소 등), 의료용(산소), 군사용(포스겐)으로 나뉩니다.

가스용도 중 연료용(취사, 난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가스이용률이 높아 국민 대다수가 도시가스나 LPG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규화수소(SiH4)등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특수한 가스도 있습니다.



보일러(대용량)가 점화가 되지 않는 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보일러 점화 불량 원인으로는 보일러 자체 불량인 경우와 가스공급 중단이 된 경우가 있습니다. 보일러에 이상이 없다면 가스압력이 저하 되었거나, 가스공급이 중단된 경우로 가스보일러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전동밸브의 차단유무를 확인 하셔야 됩니다.

자동차단밸브가 내려간 경우에는 자동차단밸브 오작동으로 차단 된 것인지 또는 가스가 누출 되어 가스누출검지기가 차단 된 것인지 확인 해야 됩니다. 가스차단자동차단밸브의 오작동일 경우 밸브를 복귀시킨 후 점화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가스누출일 경우 경동도시가스 고객만족센터(1577-8181)로 연락하여 즉시 누출 부위를 조치하여야 합니다.

자동차단밸브가 내려가지 않은 경우에는 정압기 및 압력 조정기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SSV(긴급차단밸브)가 작동되어 점화가 되지 않은 경우로 고객만족센터(1577-8181)로 연락하여 도시가스 현장 담당자를 통한 조치를 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 드립니다.


가스 불이 서서히 줄어 들더니 가스가 나오지 않는데 왜 그런 건가요?
이 경우에는, 가스누출자동차단기가 작동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현장 방문을 통한 점검이 필요하며, 고객만족센터(1577-8181)로 연락 주시면 담당직원이 즉시 방문할 수 있도록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이전